Surprise Me!

[Y가 간다] "티끌 같은 흔적도 단서"...과학수사 현장을 가다 / YTN

2019-10-20 1 Dailymotion

30여 년 만에 화성 연쇄 살인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데에는 그사이 발전한 과학수사 기법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실제 사건 현장에서 DNA 감식 같은 과학수사는 어떻게 이뤄지는 걸까요? <br /> <br />오늘(21일) 경찰의 날을 맞아 YTN 취재진이 경찰 과학수사 현장에 동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한 아파트에 누군가 침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목격자도 없는 상황, 잘려나간 방범창에는 단서가 남았을까. <br /> <br />일단 지문을 찾는 게 우선입니다. <br /> <br />[최평엽 /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대 경사 : 지문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이 너무 거칠어서 형광 분말로 칠해서 광원 관찰을 한번 해봐서 지문 여부를 확인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범인은 장갑을 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석 /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대 경사 : 유리창에 나와 있는 촉수(손을 댄) 흔적에 장갑의 섬유가 쓸린 흔적이 관찰돼요. 지금 같은 경우엔 지문을 찾는 건 좀 어려울 것 같고 바로 유전자 단계로….] <br /> <br />곧바로, 장갑에서 떨어진 피부 각질을 찾아 냈습니다. <br /> <br />눈에 띄지 않을 만큼 작은 신체 조직으로도 유전자, DNA 감식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수집한 유전자 시료를 국과수로 보내는데요,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유전자 정보와 비교해 용의자를 찾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범인이 남긴 희미한 발자국 하나도 결정적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DNA 정보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신발의 문양 하나하나도 빠짐없이 관리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발의 종류가 확인되면 CCTV 등을 통해 비슷한 신발을 신은 사람을 추적해 수사망을 좁혀나갑니다. <br /> <br />[최평엽 /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대 경사 : 여기에 등록돼있는 신발 문양 자료는 일선에서 근무하고 있는 과수대원들이 실제로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신발 문양 자료를 사진으로 찍어와서 시스템에 등록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기억에 의존해 사람의 얼굴을 그리던 몽타주 작업도 발전을 거듭하며 과학수사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보다 덜 중요해지긴 했지만 장기 실종자 수사에는 여전히 유용합니다. <br /> <br />30여 년 전에 실종된 아이가 어떻게 변했을지, 가족사진을 이용해 중년의 몽타주를 그려봤습니다. <br /> <br />[황성용 /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대 경사 : 42세로 이제 (나이를) 변환시켜볼게요.] <br /> <br />빛바랜 흑백 사진 속 모습도 장기간 축적한 자료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02104370412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